복지몰은 일반 오픈마켓과 달리 ‘폐쇄적 구조’를 가지고 있어 아무나 입점할 수 있는 공간은 아니죠. 실제로 입점 조건은 자체 배송·고객 대응 역량, 최저가 수준의 가격, 그리고 담당자 지정 등 운영 준비가 어느 정도 갖춰진 셀러에 한정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구조가 오히려 무경쟁 속에서 안정적인 매출 기회를 제공하는 이점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그럼 요즘 달라지고 있는 복지몰! 지금 트렌드를 확인해볼까요?
네이버페이는 기아의 복지포인트 제도 운영사로 선정되며 기업 복지 시장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핵심은 국내 최초 ‘확장형 복지 포인트’ 시스템인데요.
이를 통해 임직원들은 특정 복지몰에 제한되지 않고 네이버페이 결제망이 닿는 온라인·오프라인 어디서나 자유롭게 포인트를 쓸 수 있습니다.
네이버페이 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복지몰로 변한 거죠. 실제로도 활용도가 높아 ‘복지몰’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임직원들의 반응도 더 좋은 상황이죠.
동시에 기업에게는 특정 사용처 제한이나 포인트 유효기간 설정 등 최소한의 통제권을 보장해 운영 효율성도 확보했습니다. 실제로 삼성디스플레이, 현대건설 등 여러 기업이 이미 도입했고 도입 기업 수와 지급된 포인트 규모 모두 폭발적으로 성장 중이죠.
중소협력사로 98% 매출이 더 오른 ‘현대이지웰’, 혹시 나도,,?
복지몰 중에 1위를 꾸준히 달리고 있는 ‘현대이지웰’도 발 빠른 변화를 주고 있습니다.
현대이지웰은 복지몰을 통해 꾸준하게 중소 협력사들과의 협업으로 매출을 2020년과 비교해 98% 올랐습니다.
실제로 복지몰 거래액에서 중소기업·소상공인 비중은 80%에 달하며 지방 협력사 매출은 불과 몇 년 사이 수십 배로 성장했죠. 이는 복지몰이 단순한 임직원 혜택 공간을 넘어 중소업체의 안정적인 판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온라인 셀러에게 오히려 판매 채널이 확대된 셈으로 모두에게 이득이 되는 ‘윈윈’ 효과를 내고 있는 거죠.
동시에 현대이지웰은 MZ세대를 겨냥한 ‘옥순이의 하루깡’ 전문관을 선보이며 20~30대 직장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상품과 콘텐츠를 큐레이션하고 있습니다.
실제 매출 비중에서 2030 고객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에 육박하며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점을 입증했는데요. 나아가 운동화 전문관, 유전자 자가분석 서비스, 반려동물 성격유형검사 서비스 등 차별화된 브랜드도 적극 도입하며 한계가 있던 복지몰을 다양하게 확장하고 있습니다.
국내 1위 복지몰 답게 올라를 이용하는 사장님께서도 ‘현대이지웰’에 입점해 계신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E-제너두’에 이어 올라에서 ‘현대이지웰 선정산’을 오픈했습니다! 🎉
현대이지웰 복지몰 중에 규모가 가장 커 자금 흐름 관리도 굉장히 어려우셨을텐데요! 약 2개월 정도의 긴 정산 주기를 올라선정산으로 한번에 해결하세요!
또 다른 복지몰의 오픈까지 기대 부탁드리며 현대이지웰 선정산 많은 이용 부탁 드립니다! 🙇♀️